Skip links

당뇨병

당뇨병

Diabetes

당뇨병

당뇨병은 췌장에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도세포(pancreatic islet cells)의 기능이 저하되어 인슐린 분비가 생체요구량에 비하여 부족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당뇨병은 최초 발생시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의 치료를 먼저 하는 것이 원칙이나 이러한 식이요법과 운동치료에도 불구하고 혈당이 조절되지 않거나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할 수 없은 상태에서는 약물치료나 인슐린 치료를 하게 됩니다. 약물치료로서는 인슐린 분비를 자극하는 약물,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약물, 탄수화물의 장내흡수를 억제하는 약물 등, 여러 종류의 약물들이 있으며 이러한 약물요법을 시행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슐린 주사를 맞게 됩니다.

당뇨병은 췌도세포내에서 분비되는 인슐린 분비능 저하가 직접적 원인이므로 기능이 저하된 췌장세포의 기능을 정상화 시키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치료이며 췌도세포 기능저하의 원인이 췌도세포 내 미토콘드리아기능 저하이므로 미토콘드리아 이식치료가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는 질환이 당뇨병 입니다.

췌장_당뇨병
Diabetes

당뇨병의 미토콘드리아 이식치료

당뇨병_논문

성인성 당뇨병(2형 당뇨병)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부전은 인슐린 분비능을 억제 혹은 저하하므로 당뇨병 발병에 결정적 역할을 하며 이러한 미토콘드리아 기능부전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가 당뇨병 치료에 핵심적 역할을 하리라는 것을 보고한 논문입니다.

당뇨병_논문2

미토콘드리아 이식치료(mitochondria transfer)는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을 치료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며 이러한 난치적 질환에 대한 희망적 약속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한 논문입니다.

논문에서 보고된 미토콘드리아 이식치료의 기전 크게 5가지 형태가 있으며 TNTs(Tunnel Nanotubes), EVs(Extracellular vesicle), Extrusion, Cell fusion, GJCs(Gap junction channels)로 나뉩니다. 이중 TNTs, EVs, Cell fusion, GJCs는 살아있는 세포와 세포사이(cell to cell)의 방법이며 Extrusion은 미토콘드리아를 직접적으로 수용세포에 전달하는 방법으로 현재 대부분 미토콘드리아 이식치료는 Extrusion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5가지 방법이 모두 일어날 수 있는 Cell to Cell transfer 방법은 안정화 상태의 활성혈소판(stable activated platelets)에서 이루어지며 활성혈소판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이식치료가 이상적 입니다.

활성혈소판 치료영역

활성혈소판 치료영역은 크게 세포, 조직 장기의 기능부전과 면역기능 이상 치료입니다. 내분비 췌장세포 부전회복을 하여 당뇨병을 치료, 신경세포 기능부전을 회복하여 파킨슨, 치매 등에 효과적이며, 모낭 세포 기능 회복을 통해 탈모질환을 치료합니다. 또한 조직 노화 회복을 통해 안면미용시술에 사용하며 신체 기능 회복 및 증진의 기전을 통해 스포츠 기능의학, 발기부전 등을 치료합니다. 인대 및 연골손상 회복에도 효과적입니다. 면역기능 이상에 관한 치료는 류마티스, 루프스 등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며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비염 등을 치료합니다.

당뇨병

치매·파킨슨

탈모질환

안면미용

발기부전

인대·연골손상

류마티스·루프스

비염·알레르기

아토피·천식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