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links

치매

치매(Dementia)

Dementia

치매의 정의 및 원인

정의

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임상 증후군을 의미합니다. 치매에는 알츠하이머병이라 불리는 노인성 치매, 중풍 등으로 인해 생기는 혈관 성 치매가 있습니다. 이 밖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한 치매가 있습니다.

원인

전반적인 뇌 기능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질환이 치매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흔히 알고 있는 알츠하이머병은 원인 미상의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전체 치매의 50~60%를 차지합니다. 뇌의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혈관 성 치매가 20~30%를 차지합니다. 나머지는 기타 원인에 의한 치매입니다. 알츠하이머병은 두뇌의 수많은 신경세포가 서서히 쇠퇴하면서 뇌 조직이 소실되고 뇌가 위축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뇌세포의 유전적 질환이 아닌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유전적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발병하는 알츠하이머병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아직 명확하게 알려진 부분이 없습니다. 혈관성 치매는 뇌 안에서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서서히 신경세포가 죽거나, 갑자기 큰 뇌혈관이 막히거나 뇌혈관이 터지면서 뇌세포가 죽으면서 발생하는 치매를 의미합니다.

치매
Dementia

치매의 증상

치매와 건망증은 다릅니다. 건망증은 일반적으로 기억력의 저하를 호소하지만, 지남력이나 판단력 등은 정상이어서 일상적인 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건망증 환자는 기억력 장애에 대한 주관적인 호소를 하며 지나친 걱정을 하기도 하지만, 잊어버렸던 내용을 곧 기억해 낸다 거나 힌트를 들으면 금방 기억해 냅니다. 치매는 기억력 감퇴뿐 아니라 언어 능력, 시공간 파악 능력, 인격 등 다양한 정신 능력에 장애가 발생함으로써 지적인 기능의 지속적 감퇴가 초래됩니다.

기억력 저하

건망증이라면 어떤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힌트를 주면 금방 기억을 되살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매 환자는 힌트를 주어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언어 장애

가장 흔한 증상은 물건의 이름이 금방 떠오르지 않아 머뭇거리는 현상인 '명칭 실어증'입니다.

시공간 파악 능력 저하

길을 잃고 헤매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낯선 곳에서 길을 잃는 경우가 나타납니다. 점차 증상이 진행되면, 자기 집을 못 찾는다 거나 집 안에서 화장실이나 안방 등을 혼동하는 경우가 나타납니다.

계산 능력의 저하

거스름돈과 같은 잔돈을 주고받는 데 자꾸 실수가 생깁니다. 이전에 잘하던 돈 관리를 못 하게 되기도 합니다.

성격 변화와 감정의 변화

이는 매우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 매우 꼼꼼하던 사람이 대충대충 일을 처리한다 거나, 전에는 매우 의욕적이던 사람이 매사에 무관심해지기도 합니다. 감정의 변화도 많이 관찰됩니다. 특히 우울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 장애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잠을 지나치게 많이 자거나, 반대로 불면증에 시달리기도 합니다.

Activated Platelet–Mitochondria Immunotherapy

치매(알츠하이머 및 혈관성)의 활성혈소판 치료

•Hallmarks of Alzheimer’s disease like pathology were recapitulated in differentiated mature SH-SY-5Y cells with Aβ oligomer and streptozotocin in separate in vitro models.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적인 병리 현상은, 성숙한 SH-SY-5Y 신경세포에 아밀로이드 베타 올리고머나 스트렙토조토신을 처리한 세포 모델에서 재현되었다.

•Autonomous mitochondria isolated from dental pulp stem cells (DPSC) were internalized by co-culture with mature neurons and showed no cellular toxicity.

자율적인 미토콘드리아를 성숙한 신경세포와 함께 배양했을 때, 세포 안으로 흡수되었으며 독성 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Mitochondria internalization in AD-induced SH-SY-5Y cells showed amelioration of neuronal loss and ROS production.

알츠하이머 유도 SH-SY-5Y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가 흡수되자, 신경세포 손실과 활성산소(ROS) 생성이 없어지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상기 논문은 알츠하이머와 같은 뇌실질 조직의 위축과 퇴축이 있는 동물모델실험에서 미토콘드리아 이식은 뇌조직의 위축과 퇴축을 방지하고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습니다.

위 논문에서 뇌조직의 위축과 퇴행을 보이는 치매와 같은 뇌신경질환에서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한 치료는 뇌조직의 위축과 퇴행의 진행을 억제하고 나아가 뇌신경세포의 회복을 도모할 수 치료방법으로써 가능성을 보고하였습니다.

논문에서 예시된 그림에서 미토콘드리아 이식치료의 개념을 보여주는데 제공자 세포(Donor cell)에서 세포간 통로인 Gap junction등을 통하여 건강한 미토콘드리아(Healthy mitochondria)가 수용세포(Acceptor cell)-이 경우에는 손상된 신경세포-로 이동하여 손상된 미토콘드리아(Damaged mitochondria)를 대체하여 작동하므로 세포의 기능부전과 위축에서 회복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활성혈소판 치료영역

활성혈소판 치료영역은 크게 세포, 조직 장기의 기능부전과 면역기능 이상 치료입니다. 내분비 췌장세포 부전회복을 하여 당뇨병을 치료, 신경세포 기능부전을 회복하여 파킨슨, 치매 등에 효과적이며, 모낭 세포 기능 회복을 통해 탈모질환을 치료합니다. 또한 조직 노화 회복을 통해 안면미용시술에 사용하며 신체 기능 회복 및 증진의 기전을 통해 스포츠 기능의학, 발기부전 등을 치료합니다. 인대 및 연골손상 회복에도 효과적입니다. 면역기능 이상에 관한 치료는 류마티스, 루프스 등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며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비염 등을 치료합니다.

당뇨병

치매·파킨슨

탈모질환

안면미용

발기부전

인대·연골손상

류마티스·루프스

비염·알레르기

아토피·천식

상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