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links

파킨슨병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파킨슨병의 정의 및 원인

파킨슨병은 뇌간의 중앙에 존재하는 뇌흑질의 도파민계 신경이 파괴됨으로써 움직임에 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도파민은 뇌의 기저핵에 작용하여 우리가 원하는 대로 몸을 정교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신경전달계 물질입니다. 파킨슨병의 증상은 뇌흑질 치밀부의 도파민계 신경이 60~80% 정도 소실된 후에 명확하게 나타납니다. 병리 검사를 시행하면 뇌와 말초신경의 여러 부위에 발병성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침착 되어 생긴 루이소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병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 질환입니다. 60세 이상에서 1%의 유병률을 보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이 증가합니다.

파킨슨병은 전체 환자의 5~10%만 유전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 외 대부분은 특발성입니다. 파킨슨병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연구에서는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MPTP), 살충제(로테논, 파라콰트), 중금속(망간, 납, 구리), 일산화탄소, 유기 용매, 미량 금속 원소 등의 독소 노출, 두부 손상 등의 요인을 파킨슨병의 발병 원인으로 지적하였습니다. 뇌흑질의 도파민계 신경이 파괴되는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환경 독소,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불필요한 단백질 처리 기능 이상 등이 이를 유발한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파킨슨병의 치료

뇌간 흑질부위에 존재하는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의 기능부전, 신경세포 위축이 기본적인 병리학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흑질 부위 신경세포의 기능부전 및 위축 발생원인은 정확히 알려지 있지 않으며 치료 방법은 도파민 성분의 약물(도파민의 전구체 물질을 투여하거나 도파민의 분해를 억제하는 효소제)을 투여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심한 불 수의적인 떨림이나 진전이 있을 경우 수술적으로 전기도자를 뇌에 이식하여 증상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파킨슨병의 기본적 진행을 멈추게 하거나 호전 시키는 방법은 현재로서는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에는 미토콘드리아 이식 치료가 파킨슨병의 악화를 예방하고 증상을 호전 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으며 치료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Activated Platelet–Mitochondria Immunotherapy

활성혈소판 미토콘드리아 이식의 파킨슨병 치료

논문(파킨슨1).png

•This review emphasizes the role of intercellular mitochondrial transfer as a compensatory mechanism of mitochondrial quality control.

세포 사이의 미토콘드리아 이동은,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보완하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보상 기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is review examines the molecular mediators of transfer pathways, the influence of PD-associated mutations, the bidirectional dynamics between donor and recipient cells, and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based on their biological characteristics.

이 논문은 미토콘드리아 이동 경로를 매개하는 분자적 요소들, 파킨슨병 관련 돌연변이가 주는 영향, 공여 세포와 수용 세포 간의 양방향 상호작용, 그리고 이러한 생물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다룬다.

•This review summarizes strategies for improving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therapy: enhancing targeting specificity, mitigating immunogenic rejection, extending persistence, and increasing transfer efficiency.

또한 미토콘드리아 이식 치료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들을 정리한다. 여기에는 표적 전달의 정확성 강화, 면역 거부 반응의 완화, 체내 지속성의 연장, 전달 효율의 증대가 포함된다.

상기의 논문은 파킨슨병에서 미토콘드리아 이식을 통한 파킨슨병의 치료를 위한 고안점, 개선점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 및 전망을 소개하며 미토콘드리아 이식은 파킨슨병 치료의 좋은 치료방법임을 소개하였습니다.

•Transport of mitochondria across the neurons serve as critical mediator for cellular fitness and health.

신경세포 내에서 미토콘드리아가 이동하는 과정은 세포의 활력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Mitophagy and biogenesis replenish the mitochondrial pool, sustaining the cell's mitochondrial repertoire.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는 자가분해(미토파지)와 새로운 생성 과정을 통해 보충되며, 이를 통해 세포는 필요한 미토콘드리아 풀을 유지한다.

•Mitochondrial dysfunctions play pivotal role in neurodegenerative disorders including PD.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은 파킨슨병을 비롯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Inter and intracellular transport of mitochondria is governed by various molecular signaling pathways.

세포 내부와 세포 간의 미토콘드리아 이동은 다양한 분자 신호 경로에 의해 조절된다.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therapy could be a potentially unique method for enhancing clinical impact in PD.

따라서 미토콘드리아 이식 치료는 파킨슨병의 임상적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독창적인 방법이 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논문은 파킨슨병에서 미토콘드리아 이식의 장점과 함께 치료기전을 소개하였고 미토콘드리아 이식치료는 파킨슨병의 근본적인 치료방법으로 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활성혈소판 치료영역

활성혈소판 치료영역은 크게 세포, 조직 장기의 기능부전과 면역기능 이상 치료입니다. 내분비 췌장세포 부전회복을 하여 당뇨병을 치료, 신경세포 기능부전을 회복하여 파킨슨, 치매 등에 효과적이며, 모낭 세포 기능 회복을 통해 탈모질환을 치료합니다. 또한 조직 노화 회복을 통해 안면미용시술에 사용하며 신체 기능 회복 및 증진의 기전을 통해 스포츠 기능의학, 발기부전 등을 치료합니다. 인대 및 연골손상 회복에도 효과적입니다. 면역기능 이상에 관한 치료는 류마티스, 루프스 등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며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비염 등을 치료합니다.

당뇨병

치매·파킨슨

탈모질환

안면미용

발기부전

인대·연골손상

류마티스·루프스

비염·알레르기

아토피·천식

상담하기